AWS

#1 개요, AWS solution

make-min 2024. 12. 23. 11:06
반응형

AWS 글로벌 인프라와 서비스 구성 완벽 가이드

AWS의 인프라와 서비스 구성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.

AWS의 혁신적인 여정

AWS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선구자로서 2002년부터 혁신을 이어왔습니다:

  • 2002년 AWS 서비스 첫 출시
  • 2004년 SQS(Simple Queue Service) 런칭으로 첫 발걸음
  • 2006년 핵심 서비스인 S3, EC2 도입으로 본격적인 성장
  • 2007년 유럽 진출을 통한 글로벌 확장

글로벌 인프라의 핵심 구성요소

리전(Region)

AWS 리전 선택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들:

  1. 컴플라이언스와 데이터 규정
    • 데이터 현지화 요구사항 준수
    • 국가별 데이터 보관 정책 고려
  2. 네트워크 레이턴시
    • 주 사용자 기반과의 물리적 거리
    • 최적의 사용자 경험을 위한 위치 선정
  3. 서비스 제공 범위
    • 리전별 사용 가능 서비스 차이
    • 필수 서비스의 가용성 확인
  4. 비용 효율성
    • 리전별 차등 요금제
    • 비용 최적화를 위한 전략적 선택

가용 영역(Availability Zone)

각 리전은 여러 가용 영역으로 구성됩니다:

  • ap-southeast-2a, 2b, 2c와 같은 구조
  • 각 AZ는 2-4개의 데이터센터 포함
  • 물리적 격리를 통한 재해 대비
  • 초고속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

엣지 로케이션

글로벌 콘텐츠 전송을 위한 분산 네트워크:

  • 40개국 이상 진출
  • 90개 이상의 도시에 위치
  • 400개 이상의 전송 포인트 운영

AWS 서비스 카테고리

글로벌 서비스

지역 제약 없이 이용 가능한 서비스들:

  • IAM (접근 관리)
  • Route 53 (DNS)
  • CloudFront (CDN)
  • WAF (웹 방화벽)

리전 기반 서비스

특정 리전에서만 사용 가능한 서비스들:

  • EC2 (컴퓨팅)
  • Elastic Beanstalk (PaaS)
  • Lambda (서버리스)
  • Rekognition (AI/ML)

마무리

AWS의 글로벌 인프라는 고가용성과 확장성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습니다. 리전, 가용 영역, 엣지 로케이션의 전략적 배치를 통해 전 세계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 서비스 특성과 요구사항을 고려한 최적의 인프라 구성이 성공적인 AWS 활용의 핵심입니다.

 
반응형
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#6 EC2 비용 및 spot instance, AWS solution  (0) 2024.12.24
#5 EC2 firewall, AWS solution  (0) 2024.12.24
#4 EC2개요, AWS solution  (1) 2024.12.24
#3 CLI,SDK AWS solution  (0) 2024.12.24
#2 IAM, AWS solution  (0) 2024.12.23